1988년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육상, 수영, 농구,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금메달 36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7개를 획득했다. 수영의 자넷 에반스는 3관왕을 달성했으며, 육상의 칼 루이스, 플로렌스 그리피스-조이너, 재키 조이너-커시 등도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농구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금메달을, 남자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복싱에서는 판정 논란과 앤서니 헴브릭의 경기 지각 실격 등 불운한 사건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미국 - 팬암 항공 103편 폭파 사건
1988년 12월 21일, 팬암 항공 103편이 스코틀랜드 로커비 상공에서 폭탄 테러로 공중 폭발하여 탑승객 259명 전원과 지상 주민 11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셈텍스 폭약이 장착된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가 폭탄으로 사용되었으며, 리비아가 2003년 책임을 인정하고 보상금을 지급했다. - 1988년 미국 - 허리케인 길버트
1988년 9월에 발생한 허리케인 길버트는 카리브해, 멕시코, 미국을 강타하며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고, 특히 자메이카와 유카탄 반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심 기압 888hPa, 최대 풍속 295km/h를 기록한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341명의 사망자와 55억 달러의 재산 피해를 내어 그 이름이 퇴출되었다. -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미국 선수단은 골프, 육상, 조정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19개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57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앨빈 크렌즐린의 4관왕과 마가렛 아이브스 애보트의 미국 여자 선수 최초 금메달 획득이 돋보였다. -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 1906년 중간 올림픽 미국 선수단
1906년 중간 올림픽 미국 선수단은 다이빙, 레슬링, 수영, 육상, 테니스 종목에 43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육상에서 12개의 금메달을 포함 총 2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수영에서 찰스 데니얼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8개국이 참가하여 예선,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소련이 금메달을, 브라질의 호마리우가 득점왕을 기록하며 개최되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미국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미국 올림픽 위원회 |
대회 | 하계 올림픽 |
연도 | 1988년 |
개최지 | 서울 |
참가 선수 | 527명 (남자: 332명, 여자: 195명) |
종목 | 27개 |
기수 | 에벌린 애슈퍼드 |
최종 순위 | 3위 |
금메달 | 36개 |
은메달 | 31개 |
동메달 | 27개 |
총 메달 수 | 94개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
정보 출처 | sports-reference.com CIA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The New York Times |
2. 메달리스트
다음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미국의 선수들이다.
2. 1. 육상
1988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약물 사용으로 얼룩진 대회였다. 남자 100m 달리기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캐나다의 벤 존슨이 경기 후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을 보여 금메달과 9.79초의 세계 기록을 박탈당했고, 칼 루이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9년 존슨은 1981년부터 1988년까지 추가적인 PED 사용을 인정했고,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한 9.83초의 세계 기록도 취소되어 루이스의 9.92초가 올림픽 결승에서 새로운 세계 기록이 되었다.남자 단거리 종목에서 미국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 특히 400m 종목에서는 모든 메달을 휩쓸었다. 또한 남자 허들 종목에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계주에서는 4 × 100m 계주에서 바톤 터치가 잘못되어 유력한 미국 팀이 실격 처리되었지만, 4 × 400m 계주에서는 20년 전 멕시코 시티에서 세워진 세계 기록과 동률을 이루며 승리했다. 남자 필드 경기에서는 칼 루이스가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획득한 금메달을 방어하고 미국이 멀리뛰기에서 메달을 휩쓴 것이 가장 돋보였다.
여자 경기에서는 플로렌스 그리피스-조이너가 100m와 200m 단거리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여 100m에서 올림픽 기록을 0.2초 이상 단축하고, 200m에서 세계 기록을 거의 0.4초나 단축했다. 그녀는 또한 미국이 계주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데 기여하여 4 × 1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4 × 400m에서는 소련 팀의 기록적인 경기력에 이어 이전 세계 기록을 깨고 2위를 차지했다. 한편, 7종 경기에서는 재키 조이너-커시가 지난 30년 동안 근접하지 못한 세계 기록을 세우며 경기를 지배했다. 조이너-커시의 7종 경기 멀리뛰기 기록은 이 종목의 올림픽 기록을 세우기에 충분했고, 멀리뛰기 결승에서 이를 능가했다. 루이스 리터는 높이뛰기 경기에서 금메달을 향해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마지막으로, 중거리 종목에서 미국의 유일한 메달은 킴 갤러거가 800m에서 획득한 동메달이었다.
'''참고'''
- 트랙 경기의 순위는 선수의 히트 내에서만 주어진다.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목표를 달성하지 않고도 순위로 진출
;남자
;;트랙 및 로드 경기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칼 루이스 | 100 m | 10.14 | 1 Q | 9.99 | 1 Q | 9.97 | 1 Q | 9.92 | |
데니스 미첼 | 10.37 | 1 Q | 10.13 | 2 Q | 10.23 | 3 Q | 10.04 | 4 | |
캘빈 스미스 | 10.28 | 1 Q | 10.16 | 1 Q | 10.15 | 2 Q | 9.99 | ||
조 드로치 | 200 m | 20.98 | 1 Q | 20.56 | 1 Q | 20.06 | 1 Q | 19.75 | |
칼 루이스 | 20.72 | 2 Q | 20.57 | 1 Q | 20.23 | 1 Q | 19.79 | ||
로이 마틴 | 20.65 | 1 Q | 20.54 | 2 Q | 20.62 | 6 | 진출 실패 | ||
대니 에버렛 | 400 m | 45.63 | 1 Q | 44.33 | 1 Q | 44.36 | 2 Q | 44.09 | |
스티브 루이스 | 45.31 | 1 Q | 44.41 | 1 Q | 44.35 | 1 Q | 43.87 | ||
부치 레이놀즈 | 46.28 | 3 Q | 44.46 | 1 Q | 44.33 | 1 Q | 43.93 | ||
트레이시 배스킨 | 800 m | 1:50.38 | 4 | 진출 실패 | |||||
마크 에버렛 | 1:49.86 | 4 | 진출 실패 | ||||||
조니 그레이 | 1:48.83 | 1 Q | 1:45.96 | 1 Q | 1:45.04 | 4 Q | 1:44.80 | 5 | |
제프 앳킨슨 | 1500 m | 3:38.33 | 2Q | colspan=2 rowspan=3 | 3:39.12 | 5 Q | 3:40.80 | 10 | |
마크 데디 | 3:41.91 | 2 Q | 3:39.47 | 8 | 진출 실패 | ||||
스티브 스콧 | 3:41.57 | 2 Q | 3:38.20 | 1 Q | 3:36.99 | 5 | |||
테리 브람 | 5000 m | 13:45.28 | 13 q | colspan=2 rowspan=3 | 14:04.12 | 15 | 진출 실패 | ||
시드니 마리 | 13:47.85 | 2 Q | 13:22.61 | 2 Q | 13:23.69 | 5 | |||
더그 파딜라 | 13:58.45 | 5 Q | 13:37.11 | 11 | 진출 실패 | ||||
브루스 빅퍼드 | 10,000 m | 28:16.16 | 7 Q | colspan=4 rowspan=3 | 29:09.74 | 18 | |||
스티브 플라센시아 | 진출 실패 | ||||||||
팻 포터 | 28:45.04 | 11 | 진출 실패 | ||||||
아서 블레이크 | 110 m 허들 | 13.66 | 1 Q | 13.65 | 2 Q | 13.52 | 2 Q | 13.96 | 8 |
토니 캠벨 | 13.45 | 1 Q | 13.47 | 1 Q | 13.47 | 2 Q | 13.38 | ||
로저 킹덤 | 13.40 | 1 Q | 13.17 | 1 Q | 13.37 | 1 Q | 12.98 | ||
에드윈 모세스 | 400 m 허들 | 49.38 | 1 Q | colspan=2 rowspan=3 | 47.89 | 1 Q | 47.56 | ||
앙드레 필립스 | 49.34 | 1 Q | 48.19 | 1 Q | 47.19 | ||||
케빈 영 | 49.35 | 1 Q | 48.56 | 2 Q | 47.94 | 4 | |||
브라이언 앱셔 | 3000 m 장애물 | 8:36.56 | 4 Q | colspan=2 rowspan=3 | 8:27.78 | 9 | 진출 실패 | ||
브라이언 디머 | 8:38.40 | 4 Q | 8:23.89 | 7 | 진출 실패 | ||||
헨리 마시 | 8:33.89 | 6 Q | 8:18.94 | 7 q | 8:14.39 | 6 | |||
리 맥닐 데니스 미첼 앨버트 로빈슨 캘빈 스미스 | 4 × 100 m 계주 | colspan=2 | 진출 실패 | ||||||
대니 에버렛 스티브 루이스 안토니오 맥케이* 부치 레이놀즈 케빈 로빈진 앤드류 밸먼* | 4 × 400 m 계주 | 3:02.16 | 1 Q | colspan=2 | 3:02.84 | 1 Q | 2:56.16 | ||
마크 코노버 | 마라톤 | colspan=6 rowspan=3 | |||||||
에드 아이스톤 | 2:19:09 | 29 | |||||||
피트 피츠징어 | 2:14:44 | 14 | |||||||
짐 헤이링 | 20 km 경보 | colspan=6 rowspan=3 | 1:27:30 | 38 | |||||
팀 루이스 | 1:31:00 | 44 | |||||||
게리 모건 | 1:27:26 | 37 | |||||||
마르코 에보니욱 | 50 km 경보 | colspan=6 rowspan=3 | 3:56:55 | 22 | |||||
앤드루 카스트너 | 4:12:49 | 34 | |||||||
칼 슐러 | 3:57:44 | 23 |
* - 예선에 출전했지만 결선에는 출전하지 않은 선수를 나타냅니다.
;;필드 경기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칼 루이스 | 멀리뛰기 | 8.06 | 3 Q | 8.72 | |
래리 마이릭스 | 8.19 | 2 Q | 8.27 | ||
마이크 파월 | 8.34 | 1 Q | 8.49 | ||
윌리 뱅크스 | 세단뛰기 | 16.57 | 7 Q | 17.03 | 6 |
로버트 캐논 | 15.69 | 29 | 진출 실패 | ||
찰스 심킨스 | 16.35 | 10 Q | 17.29 | 5 | |
홀리스 콘웨이 | 높이뛰기 | 2.28 | =5 Q | 2.36 | |
짐 하워드 | 2.25 | =13 q | 2.31 | 10 | |
브라이언 스탠턴 | 2.25 | =9 q | 2.31 | 11 | |
얼 벨 | 장대높이뛰기 | 5.40 | =4 q | 5.70 | 4 |
빌리 올슨 | 5.40 | =9 q | 5.50 | 12 | |
코리 타펜닝 | 5.40 | =4 q | 5.50 | 10 | |
랜디 반스 | 포환던지기 | 20.83 | 3 Q | 22.39 | |
짐 도어링 | 19.73 | 11 q | 19.89 | 11 | |
그레그 타프랄리스 | 19.71 | 12 q | 20.16 | 9 | |
마이크 번시크 | 원반던지기 | 63.16 | 6 q | 62.46 | 10 |
랜디 하이슬러 | 59.08 | 17 | 진출 실패 | ||
맥 윌킨스 | 62.48 | 7 q | 65.90 | 5 | |
브라이언 크라우저 | 창던지기 | 72.72 | 29 | 진출 실패 | |
톰 페트라노프 | 77.48 | 18 | 진출 실패 | ||
데이브 스테픈스 | 78.42 | 14 | 진출 실패 | ||
랜스 딜 | 해머던지기 | 73.66 | 17 | 진출 실패 | |
케네스 플랙스 | 72.70 | 18 | 진출 실패 | ||
주드 로건 | 72.64 | 19 | 진출 실패 |
;;복합 경기 – 십종경기
선수 | 경기 | 점수 | 순위 | ||||||||||
---|---|---|---|---|---|---|---|---|---|---|---|---|---|
팀 브라이트 | 결과 | 11.18 | 7.05 | 14.12 | 2.06 | 49.34 | 14.39 | 41.68 | 5.70 | 61.60 | 4:51.20 | 8216 | 7 |
점수 | 821 | 826 | 736 | 859 | 845 | 925 | 699 | 1132 | 762 | 611 | |||
데이브 존슨 | 결과 | 11.15 | 7.12 | 14.52 | 2.03 | 49.15 | 14.66 | 42.36 | 4.90 | 66.46 | 4:29.62 | 8180 | 9 |
점수 | 827 | 842 | 760 | 831 | 854 | 891 | 713 | 880 | 835 | 747 | |||
게리 킨더 | 결과 | 11.31 | 7.00 | 14.89 | 1.97 | 51.79 | |||||||
점수 | 793 | 814 | 783 | 776 | 734 |
;여자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text-align:center
|-
!rowspan=2|선수
!rowspan=2|종목
!colspan=2|예선
!colspan=2|준준결선
!colspan=2|준결선
!colspan=2|결선
|-style=font-size:95%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
|align=left|'''에블린 애슈포드'''
|align=left rowspan=3|100 m
|11.10
|1 '''Q'''
|10.88
|1 '''Q'''
|10.99
|1 '''Q'''
|10.83
|
|-
|align=left|'''플로렌스 그리피스-조이너'''
|10.88
|1 '''Q'''
|10.62
|1 '''Q'''
|10.70
|1 '''Q'''
|10.54**
|
|-
|align=left|그웬 토렌스
|11.12
|1 '''Q'''
|10.99
|2 '''Q'''
|11.02
|3 '''Q'''
|10.97
|5
|-
|align=left|'''플로렌스 그리피스-조이너'''
|align=left rowspan=3|200 m
|22.51
|1 '''Q'''
|21.76
|1 '''Q'''
|21.56
|1 '''Q'''
|21.34
|
|-
|align=left|패멀라 마셜
|colspan=2|
|colspan=6|진출 실패
|-
|align=left|그웬 토렌스
|22.87
|1 '''Q'''
|22.25
|1 '''Q'''
|22.53
|3 '''Q'''
|22.17
|6
|-
|align=left|발레리 브리스코-훅스
|align=left rowspan=3|400 m
|51.96
|1 '''Q'''
|51.24
|2 '''Q'''
|49.90
|2 '''Q'''
|50.16
|4
|-
|align=left|다이앤 딕슨
|52.45
|1 '''Q'''
|51.98
|2 '''Q'''
|49.84
|3 '''Q'''
|50.72
|5
|-
|align=left|디니언 하워드
|52.26
|1 '''Q'''
|51.02
|3 '''Q'''
|49.87
|4 '''Q'''
|51.12
|6
|-
|align=left|조에타 클라크
|align=left rowspan=3|800 m
|2:00.83
|2 '''Q'''
|colspan=2 rowspan=3
|2:03.32
|7
|colspan=2|진출 실패
|-
|align=left|'''킴 갤러거'''
|2:01.70
|1 '''Q'''
|1:57.39
|2 '''Q'''
|1:56.91
|
|-
|align=left|델리사 월튼-플로이드
|2:02.37
|2 '''Q'''
|1:58.82
|2 '''Q'''
|1:57.80
|5
|-
|align=left|메리 데커
|align=left rowspan=3|1500 m
|4:03.61
|2 '''Q'''
|colspan=4 rowspan=3
|4:02.49
|8
|-
|align=left|킴 갤러거
|4:07.22
|4 '''Q'''
|4:16.25
|11
|-
|align=left|레지나 제이콥스
|4:18.09
|11
|colspan=2|진출 실패
|-
|align=left|메리 데커
|align=left rowspan=3|3000 m
|8:44.15
|4 '''Q'''
|colspan=4 rowspan=3
|8:47.13
|10
|-
|align=left|비키 후버
|8:48.93
|5 '''Q'''
|8:37.25
|6
|-
|align=left|패티수 플루머
|8:45.21
|7 '''q'''
|8:59.17
|13
|-
|align=left|린 제닝스
|align=left rowspan=3|10000 m
|32:18.44
|8 '''Q'''
|colspan=4 rowspan=3
|31:39.93
|6
|-
|align=left|프랜시 라리우-스미스
|31:52.02
|6 '''Q'''
|31:35.52
|5
|-
|align=left|린 넬슨
|32:15.45
|6 '''Q'''
|32:32.24
|15
|-
|align=left|게일 디버스
|align=left rowspan=3|100 m 허들
|13.18
|3 '''Q'''
|13.22
|4 '''Q'''
|13.51
|8
|colspan=2|진출 실패
|-
|align=left|재클린 험프리
|13.24
|4 '''Q'''
|13.25
|6 '''q'''
|13.59
|7
|colspan=2|진출 실패
|-
|align=left|라본나 마틴
|13.20
|3 '''Q'''
|13.20
|5 '''q'''
|13.29
|7
|colspan=2|진출 실패
|-
|align=left|레슬리 맥시
|align=left rowspan=3|400 m 허들
|57.60
|5
|colspan=2 rowspan=3
|colspan=4|진출 실패
|-
|align=left|라타냐 셰필드
|55.61
|4 '''q'''
|54.36
|3 '''Q'''
|55.32
|8
2. 2. 수영
1988년 하계 올림픽 수영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미국의 주요 성과 중 하나였다. 남자부에서는 맷 비욘디(Matt Biondi)가 자유형 50m와 100m에서 금메달, 2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톰 예거(Tom Jager)는 자유형 5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크리스 제이콥스(Chris Jacobs)는 자유형 100m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데이비드 버코프(David Berkoff)는 배영 1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맷 비욘디(Matt Biondi)는 접영 100m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데이비드 워튼(David Wharton)은 개인혼영 4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계영 종목에서는 맷 비욘디(Matt Biondi), 크리스 제이콥스(Chris Jacobs), 트로이 댈비(Troy Dalbey), 톰 예거(Tom Jager)가 400m 자유형 계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트로이 댈비(Troy Dalbey), 맷 세틀린스키(Matt Cetlinski), 더그 제르트센(Doug Gjertsen), 맷 비욘디(Matt Biondi)는 800m 자유형 계영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데이비드 버코프(David Berkoff), 리처드 슈로더(Richard Schroeder), 맷 비욘디(Matt Biondi), 크리스 제이콥스(Chris Jacobs)는 400m 혼계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에서는 자넷 에반스(Janet Evans)가 자유형 400m, 800m, 개인혼영 4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다. 질 스테르켈(Jill Sterkel)은 자유형 5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메리 T. 미허(Mary T. Meagher)는 접영 200m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여자 계영 종목에서는 메리 웨이트(Mary Wayte), 미치 크레머(Mitzi Kremer), 로라 워커(Laura Walker), 다라 토레스(Dara Torres)가 400m 자유형 계영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베스 바(Beth Barr), 트레이시 맥팔레인(Tracey McFarlane), 제넬 요르겐센(Janel Jorgensen), 메리 웨이트(Mary Wayte)는 400m 혼계영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3. 농구
1988년 하계 올림픽 농구에서 미국 남자 농구 대표팀은 남자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국 남자 대표팀은 예선 라운드에서 스페인, 캐나다, 브라질, 중국, 이집트를 차례로 꺾고 5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푸에르토리코를 94-57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소련에 76-82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를 78-49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미국 여자 농구 대표팀은 여자 토너먼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대표팀은 예선 라운드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중국을 꺾고 3전 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소련을 102-88로 이겼고,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77-70으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미국 남자 대표팀은 이번 대회가 대학 선수들로 구성된 마지막 올림픽 대표팀이었다. 다른 국가들은 최고의 프로 선수들을 기용했다.
2. 4. 복싱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 복싱 선수단은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로이 존스 주니어(Roy Jones Jr.)는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박시훈에게 3-2 판정패를 당했는데, 이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5][6][7] 세 라운드 동안 박시훈을 몰아붙이고 86개의 펀치를 적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판정은 바뀌지 않았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 조사 결과 박시훈에게 투표한 세 명의 심판이 대한민국 관계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8] 이 사건으로 인해 올림픽 복싱 심판 기준이 변경되었다. 마이클 카르바할(Michael Carbajal)의 라이트 플라이급 결승전 패배 역시 정치적 영향에 의한 판정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9][11]리딕 보우(Riddick Bowe)는 슈퍼 헤비급 결승전에서 레녹스 루이스(Lennox Lewis)에게 패했다. 루이스가 강펀치를 여러 차례 날린 후 심판은 보우에게 두 번의 스탠딩 8 카운트를 선언했고, 두 번째 카운트 후 보우가 경기를 계속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를 중단시켰다.[10]
미들급 선수 앤서니 헴브릭(Anthony Hembrick)은 경기 일정을 잘못 이해하여 실격되는 불운을 겪었다. 헴브릭과 그의 코치 켄 아담스는 경기 일정을 잘못 알았고, 12분 늦게 경기장에 도착하여 실격 처리되었다.[13]
앤드류 메이너드(Andrew Maynard), 케네디 맥키니(Kennedy McKinney), 레이 머서(Ray Mercer)를 포함한 미국 육군 복싱 팀은 애리조나주 포트 후아추카(Fort Huachuca, Arizona)에서 올림픽을 대비해 훈련했다.[12]
선수 | 세부 종목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8강 | 4강 | 결승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마이클 카르바할(Michael Carbajal) | 라이트 플라이급 | 승 3–2 | 승 | 승 5–0 | 승 4–1 | 패 0–5 | ||
아서 존슨(Arthur Johnson) | 플라이급 | 승 5–0 | 승 | 패 0–5 | 진출 실패 | =9 | ||
케네디 맥키니(Kennedy McKinney) | 밴텀급 | 승 | 승 | 승 5–0 | 승 | 승 5–0 | ||
켈시 뱅크스(Kelcie Banks) | 페더급 | 패 | 진출 실패 | =33 | ||||
로말리스 엘리스(Romallis Ellis) | 라이트급 | 승 5–0 | 승 | 승 3–2 | 패 0–5 | 진출 실패 | ||
토드 포스터(Todd Foster) | 라이트 웰터급 | 승 | 승 | 패 2–3 | 진출 실패 | =5 | ||
케네스 굴드(Kenneth Gould) | 웰터급 | 승 4–1 | 승 5–0 | 승 5–0 | 승 5–0 | 패 1–4 | 진출 실패 | |
로이 존스 주니어(Roy Jones Jr.) | 라이트 미들급 | 승 | 승 5–0 | 승 5–0 | 승 5–0 | 패 2–3 | ||
앤드류 메이너드(Andrew Maynard) | 라이트 헤비급 | 승 | 승 5–0 | 승 | 승 5–0 | |||
레이 머서(Ray Mercer) | 헤비급 | 승 | 승 | 승 | 승 | |||
리딕 보우(Riddick Bowe) | 슈퍼 헤비급 | 승 | 승 | 승 5–0 | 패 |
2. 5. 기타 종목
미국은 양궁에서 대한민국에 이어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제이 바스는 남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리처드 매키니, 대럴 페이스와 함께 남자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데니스 파커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양궁 역사상 최연소 메달리스트가 되었다.카누 종목에서는 그레그 바턴이 남자 K-1 1000m와 노먼 벨링햄과 함께 K-2 1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사이클 종목에서는 코니 파라스케빈-영이 여자 스프린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이빙 종목에서는 그레그 루가니스가 남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켈리 매코믹은 여자 3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 미셸 미첼은 여자 10m 플랫폼에서 은메달, 웬디 윌리엄스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승마 종목에서는 그렉 베스트가 젬 트위스트를 타고 개인 장애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단체 장애물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펜싱 종목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필드하키 여자 대표팀은 8위를 기록했다.
축구 남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탈락했다.
체조 종목에서는 피비 밀스가 여자 평균대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핸드볼 남자 대표팀은 12위, 여자 대표팀은 7위를 기록했다.
유도 종목에서는 케빈 아사노가 남자 60kg 이하급에서 은메달, 마이크 스웨인이 남자 71kg 이하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근대5종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조정 종목에서는 남자 무타포어에서 은메달, 남자 에이트에서 동메달, 여자 싱글 스컬에서 앤 마든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요트 종목에서는 남자 470에서 찰스 맥키와 존 섀든이 동메달, 여자 470에서 린 주얼과 앨리슨 졸리가 금메달, 남자 디비전 II에서 마이크 게브하르트가 동메달, 스타에서 할 헤이넬과 마크 레이놀즈가 은메달, 솔링에서 윌리엄 베일리, 로버트 빌링햄, 존 코스테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사격 종목에서는 에리히 불중이 남자 10m 공기 권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싱크로나이즈 스위밍에서는 트레이시 루이즈가 여자 개인전에서 은메달, 캐런 조셉슨과 세라 조셉슨이 여자 듀엣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탁구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테니스에서는 팀 마요트가 남자 단식에서 은메달, 브래드 길버트가 동메달, 지나 개리슨이 여자 단식에서 동메달, 켄 플라흐와 로버트 세구소가 남자 복식에서 금메달, 지나 개리슨과 팸 슈라이버가 여자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배구에서는 남자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대표팀은 7위를 기록했다.
수구에서는 남자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역도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레슬링에서는 존 스미스가 남자 자유형 62kg급에서 금메달, 케니 먼데이가 남자 자유형 74kg급에서 금메달, 브루스 바움가트너가 남자 자유형 130kg급에서 은메달, 네이트 카가 남자 자유형 68kg급에서 동메달, 윌리엄 셔가 남자 자유형 100kg급에서 동메달, 데니스 코즐로프스키가 남자 그레코로만형 100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논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 복싱 선수단은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5][6][7] 로이 존스 주니어는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박시훈에게 3-2로 판정패했는데, 86번의 펀치를 성공시키는 등 경기를 압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정이었다.[5][6][7] 조사 결과, 박시훈에게 투표한 세 명의 심판이 대한민국 관계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8]
마이클 카르바할 역시 라이트 플라이급 결승전에서 판정패했는데, 이 역시 정치적 영향에 의한 부패 혐의가 제기되었다.[9][11]
리딕 보우는 슈퍼 헤비급 결승전에서 레녹스 루이스에게 패했다. 루이스가 강펀치를 날린 후 심판은 보우에게 두 번의 스탠딩 8 카운트를 선언했고, 두 번째 후 보우가 계속할 수 있음에도 경기를 중단시켰다.[10]
미들급의 앤서니 헴브릭은 경기 일정을 잘못 해석하여 12분 늦게 경기장에 도착, 실격 처리되어 대한민국의 하종호에게 부전승이 돌아갔다.[13]
4.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at the 1988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1-07-30
[2]
웹사이트
Information Report - Soviet Sports and Intelligence Activities
https://www.cia.gov/[...]
CIA
1954-12-28
[3]
웹사이트
The 1980 Olympics Are The 'Cleanest' In History. Athletes Recall How Moscow Cheated The System.
https://www.rferl.or[...]
2021-12-26
[4]
뉴스
The Soviet Doping Plan: Document Reveals Illicit Approach to '84 Olympics
https://www.nytimes.[...]
2016-09-03
[5]
뉴스
In Losing, a Boxer Won
https://query.nytime[...]
2010-04-10
[6]
뉴스
Sports of The Times – Nice Gesture Substitutes For Justice – NYTimes.com
https://query.nytime[...]
2015-04-16
[7]
웹사이트
Seoul Games scarred by riots
http://in.rediff.com[...]
2008-08-22
[8]
웹사이트
10: Notable Olympic boxing controversies - Page 11 of 11
https://www.ringtv.c[...]
2020-02-08
[9]
웹사이트
USA Boxing Seeks to Ban Olympic Judges : Roy Jones Decision in Gold-Medal Bout Prompts Action Against Three
https://www.latimes.[...]
2020-02-08
[10]
Youtube
Lennox Lewis vs Riddick Bowe 88 Olympic Final
https://www.youtube.[...]
2017-05-03
[11]
웹사이트
USA Boxing Seeks to Ban Olympic Judges : Roy Jones Decision in Gold-Medal Bout Prompts Action Against Three
https://www.latimes.[...]
2020-02-08
[12]
웹사이트
NewspaperArchive® | 15,924 Historic Newspaper Archives
https://newspaperarc[...]
[13]
뉴스
THE SEOUL OLYMPICS: Boxing; Tardy Hembrick Is Banned
1988-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